탕수육은 오리지널 탕수육과 찹쌀 탕수육 그리고 요즘에는 마라탕이 유행하면서 꿔바로우 또한 굉장히 인기죠?
그래서 오늘은 탕수육에 대한 궁금증을 풀어보려고 합니다!

탕수육?
탕수육은 돼지고기에 녹말튀김옷을 입혀서 튀긴 것인데, 거기에 새콤한 탕수 소스를 곁들여 먹는 한국식 중국요리입니다.
짜장면,짬뽕, 만두와 더불어서 중국집이라고 불리는 기본의 식당들에서 제공하는 메뉴들중 주요 인기 메뉴에 속합니다.
1882년 임오군란 당시에 청나라 화교들이 건너와서 한국인의 입맛에 맞도록 청의 탕추 요리를 한국화 한 것이 한국식 탕수육의 원조라고 할 수 있습니다.
탕추요리 - 탕추 또는 톈쏸이라 불리는 이것은 중국의 새콤달콤한 요리 양념입니다. (설탕, 전분, 식초가 들어가는 조리법 및 소스)
탕수육의 역사
한국은 소고기를 좋아하고 중국은 돼지고기!라고 할 정도로 중국인들은 돼지고기를 참 좋아하고 많이 먹습니다.
그렇기에 중국의 고기 요리라고 하면 통상 돼지고기로 만든 요리를 의미하기도 합니다.
돼지고기 요리는 ‘육’자만 사용하는데, 쇠고기는 ‘우육’, 닭고기는 ‘계육’ 이라 붙이는 것처럼 과거 중국의 집집마다 돼지를 사육했다 할 정도로 돼지고기 요리를 좋아하는 것 같습니다.
탕수육 말고도 돼지고기를 이용한 중국 요리로 동파육, 탕추육 등이 있습니다.
중국은 오래전부터 식초나 설탕을 주재료로 하는 탕추 소스를 사용해 온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한국에서 탕수육이라고 불리는 이 요리가 중국에서는 여러 지방에 따라 구라오러우, 궈바오러우, 탕추리지 등으로 종류가 나뉘어 집니다.
요즘날 저희에게 익숙한 이름으로는 궈바오러우 즉, 꿔바로우라고 불리는 탕수육이 있겠습니다.
탕추리지는 가장 대중적인 탕수육으로 산동 지방과 북격의 것이며, 광동성 지역이나 상해에서도 유명하다고 합니다.
1882년에 임오군란이 발생하고 이것을 진압하기 위해 조선에서 청나라에 원군 요청을 했는데, 위안스카이 일행과 함께 그 당시에 들어온 청나라 상인들이 인천에 정착하게 되면서 ‘청요리집’을 열었다고 합니다. 이 상인들이 주로 산둥반도 출신이었기 때문에 산둥지역의 명물이라 할 수 있는 짜장면과 함께 산둥식 탕수육을 우리 입맛에 맞게 변형시켜서 판매하였고 이것이 오늘날 우리가 한국인들이 좋아하고 즐겨먹는 탕수육이 되었다고 할 수 있습니다.
혹은 지금의 탕수육은 아편전쟁 이후 청에 들어온 서양인들을 위해서 중국식 탕수육을 변형시켜 만들었다가 그것이 한국화 된 것이라는 설도 있습니다.
부먹 VS 찍먹
탕수육의 특징은 기본적으로 겉은 바삭한데 속은 촉촉하고 부드러운것입니다. 근데 한국에서는 유독 오래전 부터 탕수 소스를 부어서 먹는 것이 좋느냐, 찍어서 먹는 것이 좋느냐에 따라 논쟁을 거듭해왔고, 지금은 아예 밈처럼 이모티콘까지 등장하면서 ’탕수육 부먹 찍먹 논쟁‘이 온라인과 오프라인에서 지속되고 있습니다. 이것은 다른 나라 외국인들 사이에서도 흥미로워 하는 논쟁으로 핫했다고 합니다.
이 논쟁에 대해 여러가지 해석과 답변이 존재하는데, 중국에서는 기본적으로 부어서 먹는 것이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방법이기는 하나 개인의 선호에 따라 찍어서 먹는 것도 좋다는 결론입니다.
개인의 취향에 따라 알아서 먹는것이 가장 평화롭고 좋겠죠? ^^
탕수육 조리 방법
재료
돼지고기 150g
당근 약 1/4개
오이 약 1/4개
달걀 1개
양파 1/6개
감자 전분 4 큰 술
소금 2 작은 술
마늘 1쪽
참기름 1 작은 술
후추 약간
맛술 1 큰 술
소스 재료
다진 생강 1쪽(있으면 좋음)
식초 3 큰 술
간장 2 큰 술
설탕 1 큰 술
맛술 1 큰 술
전분가루 2 큰 술
물 150ml
물엿 약간
돼지고기는 가늘고 길게 잘라줍니다.(취향에 따라 고기 양을 두껍게 해도 상관 없습니다.)
탕수육 소스 만들 준비를 하는데 먼저 소스 재료를 섞어서 준비해두고 전분가루만 별도로 준비합니다.
채소를 썰어줍니다. (무작위로 취향껏 썰어주면 됩니다.)
고기에 옷을 입히고 풀어둔 달걀에 양념을 묻혀둔 것을 넣고 거기에 아까 따로 뒀던 감자 전분을 넣고 잘 섞어줍니다.
(수분이 너무 부족하다 싶으면 조금씩 물을 넣어가면서 섞어줍니다.)
프라이팬에 기름을 넣고 가열합니다. 온도가 올라간 후에 약불로 줄이고 표면이 잘 익도록 튀겨줍니다. 대략 튀기는 시간은 10분 정도입니다. (너무 자주 뒤집지 않도록 주의!)
미리 준비한 소스와 당근을 냄비에 넣고 익히다가 다 익을 때쯤 양파를 넣고 부드러워 질 때까지 끓입니다.
다 익으면 불을 끄고 물엿을 넣어 끈적이게 해줍니다.
마지막으로 오이를 넣고 조금 익혀줍니다.
튀긴 돼지고기 위에 소스를 얹으면 완성!
꿔바로우와 탕수육
꿔바로우는 감자전분을 사용하고 탕수육은 대부분 찹쌀가루를 사용한다고는 하지만 꼭 그렇지도 않습니다. 요즘은 마라탕집에서 꿔바로우를 저마다의 스타일로 찹쌀을 많이 넣어 쫀득하게 만드는 경우도 있고 소스도 탕수육이나 꿔바로우 둘 다 각 음식점마다 달달하거나 시큼함의 차이가 있기 때문에 현재 한국에서는 이 둘의 차이점이 크게 나뉘지 않는 것 같습니다.
원래 중국집에서 탕수육 시키면 탕수육 킬러였는데, 정말 맛있는 꿔바로우를 파는 곳에서 맛을 본 후로 찹쌀 탕수육 혹은 꿔바로우에 눈길이 가는 접니다. ^^;;
개인의 취향이지만 저는 찹쌀이 많이 들어가서 쫀득한게 맛있더라구요! 🙄
여러분도 저마다의 맛있는 탕수육집을 찾아보시거나 집에서 직접 만들어보는 것도 좋을 것 같아요! 😋